목록분류 전체보기 (128)
막무가내 삽질 블로그
RxJava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피드백 받고 한 내용을 포스팅 했습니다. 목차는 RxJava란 Cold / Hot Observable 생산자별 차이와 사용(Single,Maybe,Completable,Flowable,Observable,Subject,Processor) www.notion.so/fundevjay/1-c756ff9a819346a38e1ebc2c8d665424 1주차 목차 www.notion.so 안드로이드 스터디 모집중 www.notion.so/fundevjay/7256ac4ea03f4ea3afe1753142ae02c1 공지사항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좀 더 깊이감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스터디를 만들었습니다. www.notion.so
올해 초에 자바로 리싸이클러뷰 페이징에 대해 포스팅 했었는데 조금 더 다듬고 프로젝트에 맞게 끔 수정했다. 아래 첨부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www.notion.so/fundevjay/RecyclerView-Pagination-10c527bb55844fb799370db8263b9ecf RecyclerView Pagination 구현 리싸이클러뷰 페이징 처리 www.notion.so 안드로이드 스터디 모집중 www.notion.so/fundevjay/7256ac4ea03f4ea3afe1753142ae02c1 공지사항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좀 더 깊이감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스터디를 만들었습니다. www.notion.so
안드로이드에서 DI(Koin)을 사용하기 위해 DI를 공부 중이다. DI 란 무엇인가? Dependency Injection 이다. 한 단어씩 해석 하면 Dependency는 의존,의존성이란 뜻을 가지고 있고 Injection은 주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의존성 + 주입 = DI Dependency(의존성)이란? 만약 내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간다고 가정하면 자동차나 비행기 등 교통수단에 의존하게 된다. 프로그래밍적으로 보면 class Apple { var num: Int = 1 } class Banana { val apple = Apple() print(apple.num) } Banana 클래스 내부에서 Apple 클래스를 참조하고 있다. 이럴 경우 Banana 클래스 -> Apple 클래스 의존성을..

Firebase Crashlytics는 실시간 오류 보고 도구로 앱 품질을 저하하는 안정성 문제를 추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앱이 Firebase Console에 추가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글을 작성 project build.gradle dependencies 안에 classpath 'com.google.firebase:firebase-crashlytics-gradle:2.2.0' 추가해 준다. app build.gralde apply plugin: 'com.google.firebase.crashlytics' 추가 dependencies implementation 'com.google.firebase:firebase-crashlytics:17.1.0' sysnc now 이 상태에서 메인화면..
www.notion.so/fundevjay/Android-ddf96b24265e414fb2d9e8fc5d388b80 Android https://class-programming.tistory.com/ www.notion.so

Forking WorkFlow 방식에 대해 정리 해볼려 한다. Forking WorkFlow 모든 프로젝트 참여자가 개인적인 로컬 저장소와 공개된 자신의 원격 저장소, 즉 두 개씩의 Git 저장소를 가지는 방식이다. 모든 코드 기여자가 하나의 중앙 저장소에 푸시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자신의 원격 저장소에 푸시하고, 프로젝트 관리자만 다른 개발자들의 기여분을 중앙 원격 저장소에 병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아주 큰 규모의 분산된 팀에서도 안전하게 협업하기에 좋은 협업 방식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 중앙 원격저장소, 자신의 원격 저장소, 로컬 저장소의 개념 중앙 원격 저장소 : 여러 명이 같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그룹 계정의 중립된 원격 저장소 자신의 원격 저장..

깃에 대해 정리 해볼려 한다. Git 이란?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이다. Git이 필요한 이유는? 무분별하게 파일을 만들어놓거나 통일성 없이 코드를 관리 한다면 어느 파일이 최신인지 어떤 부분이 변경 되어있는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생각한다. 협업 시 여러 명이 동시에 편집하거나 기능을 추가 했을 때 혼돈의 카오스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Git을 왜 사용해야 하는지? 소스 코드가 변경된 이력을 쉽게 파악 할 수 있으며, 특정 시점에 저장된 버전과 비교하거나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개인 또는 협업 시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Git의 저장소 Remote Repository ..
Stetho 라는 라이브러리를 알고는 있었지만 사용해 본 적은 없었다. 이번에 룸과 쉐어드에 대량의 데이터를 삽입하게 되어서 사용해 봤다. Steho는 페이스북에서 안드로이드 디버깅을 할려고 만든 툴이다. gradle 추가 implementation 'com.facebook.stetho:stetho:1.5.1' 디버깅 할려고 하는 액티비티쪽에 onCreate에 추가해준다 Stetho.initializeWithDefaults(this) Application 전역변수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편하다. 앱 실행 -> chrome://inspect 접속 -> devcie -> inspect -> resources 쉐어드 및 룸을 확인할 수 있다. 끝